1. 윈도우에서 APMSETUP 프로그램으로 APM을 설치해 봅시다.
PHP 는 하이퍼텍스트 전처리기 (Hypertext Preprocessor)를 뜻하는 이름으로써 오픈 소스 베이스의 스크립팅 언어라고 하네요. 특히 웹 개발에 알맞고 HTML에 삽입하는 형식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문법은 C, Java, Perl과 흡사하여 배우기 쉽다고 합니다. 동적인 웹 페이지를 아주 빨리 개발할 수 있도록 해주며, 다른 언어에 비하면 다양한 명령어를 많이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PHP 언어는 보통 웹서버인 아파치(Apache)와 데이터베이스인 마이스퀄(Mysql)과 함께 설치해서 사용하므로 이 3가지를 합하여 APM이라고 한답니다.
이 3가지를 한 번에 간단하게 설치해 주는 프로그램인 apmSetup을 제공하던 근사모 사이트가 있었는데, 이 사이트가 없어졌는지 찾을 수가 없어요, 이 3가지를 개별로 하나씩 해당 사이트에서 다운받아 설정하려면 꽤 복잡했었는데...
그런데 이 apmSetup 프로그램을 지금은 네이버 프로그램 자료실에서 다운받을 수 있습니다.
http://software.naver.com/software/summary.nhn?softwareId=MFS_111815
여기서 다운받은 파일이 “APMSETUP7_2010010300.exe” 이네요.
설치...
'다음' 단추를 누르고 '계약권 사용' 에 동의한 후
기본값 그대로 다음으로 넘어갑니다.
여기서 설치 폴더를 여유공간이 많은 D드라이브로 정했죠. 그리고 ‘설치’ 단추 클릭.
드디어 프로그램이 깔리고 '마침' 단추를 눌렸죠
그런데 튀어 나오는 웬 '업그레이드 메세지 창' . . .
‘아니요’ 단추 클릭, 업데이트 사이트가 없어졌기 때문이죠
이것으로 일단 설치는 완료, 다음은 설정을 해야 합니다.
윈도우 화면 오른쪽 아래의 ①시스템트레이 아이콘을 마우스 왼쪽 버튼 클릭 -> ② APMSETUP 아이콘을 마우스 오른쪽 클릭하면, 아래와 같은 창이 나옵니다.
③ 서버환경설정을 클릭하면 ‘APMSETUP 서버환경’ 창이 나옵니다.
‘APMSETUP환경설정’ 탭에서
‘윈도우 시작시 APMSETUP Monitor를 실행합니다’ 에 체크를 합니다. 그러면 정전으로 컴퓨터가 꺼졌다가 새로 켜져도 APM은 자동으로 실행되어 서버 기능을 하게 되죠
‘자동 업데이트를 사용합니다’ 에 체크를 하지 않습니다. 지금은 업데이트가 안되는 프로그램입니다. 업데이트 메시지 창이 자꾸 뜨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입니다.
그 다음 ‘Apache 설정’ 탭에서
- Listen : 80
그대로 둡니다.
아파치 웹서버가 80번 포트를 통해 서비스하겠다는 것입니다.
대부분의 홈페이지가 일반적으로 80번 포트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특별한 경우 즉, 컴퓨터 1대에 서버를 2개이상(Apache 서버와 IIS서버 등) 사용할 때는 부득이 포트 번호를 각각 다르게; 해서 사용해야 할 경우도 있습니다.
- ServerName : 127.0.0.1
그대로 둡니다.
‘127.0.0.1’ 이나 ‘localhost’ 는 자신의 컴퓨터에서 자신의 홈페이지를 호출할 때만 쓰는 주소입니다. 네트워크로 연결된 다른 사람의 컴퓨터에서 이 주소로는 내 켬퓨터에 들어 올 수 없습니다. 그러니까 홈페이지 개발 테스트용이나 PHP프로그램 작성 테스트용으로만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른 컴퓨터에서 내 컴퓨터의 홈페이지를 호출하려면 내 컴퓨터의 공인 IP주소나 도메인으로 들어와야 겠죠.
- ServerAdmin : admin@localhost
그대로 둡니다. 에러 발생시에 메일 기능이 있으면 에러사항을 관리자 메일로 보내줍니다.
- DocumentRoot : D:Homp
‘선택’ 단추를 눌러서 홈페이지로 사용할 물리적 경로를 알맞게 지정합니다.
여기서는 연습용이므로 간단하게 D드라브에 ‘Homp’라는 폴더를 만들어 지정했습니다. 경로명은 전부 영어로 사용해야 나중에 실행시에 에러가 나지 않습니다. 실제로 사용할 서버라면 보안을 생각해서 경로를 짧게 하지 말고, 추측할 수 없는 폴더명으로 여러 단계 길게 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 DirectoryIndex : index.php, index.html. index.htm
그대로 사용합니다.
아것은 다른 사람들이 인터넷으로 도메인이나, IP주소로 통해 홈페이지에 접속해 들어 왔을 때, 자동으로 가장 먼저 처음으로 보여 줄 파일 이름입니다.
그래서 홈페이지에서 가장 먼저 시작되는 파일은 index.php나 index.html로 작성합니다.
index.php가 없으면 그다음 index.html을 보여주고, 이것도 없다면 index.htm을 보여주고 이것도 없다면 ‘홈페이지가 없다’는 에러메세지가 나가게 되겠죠.
그 다음 'PHP설정' 탭을 클릭하여 봅시다.
여기서는 변경할 것 없이 기본값 그대로 사용하면 됩니다.
- PHP Extension : .php .html
php나 html 확장자를 가진 파일은 php파일로 인식해서 php코드를 해석하겠다는 뜻입니다.
- post_max_size : 360M
post방식으로 데이터를 보낼 수 있는 최대 크기를 360Mbyte 로 설정합니다.
php에서 데이터를 보내는 방식에는 get방식, post방식 등이 있습니다.
- register_glavals : off
보내온 변수값을 받을 때 글로벌(전역적)로 사용할 수 없도록 등록합니다. 현재 php버전에서는 보안이 취약해지므로 사용하지 않도록 권장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get 방식으로 http://localhost/test,php?name=kim&year=49 라는 링크를 사용하여 변수 값을 보낸다고 가정하면,
서버(localhost/test.php)에서 받을 때
register_glavals = on 상태라면, $name,$year 변수를 바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php
echo " 이름 : $name <br>";
echo " 나이 : $year";
?>
register_glavals = off 상태라면 $name, $year 변수를 바로 사용할 수 없고,
<?php
$my_name = $_GET["name"];
$my_year = $_GET["year"];
echo "이름 : $my_name <br>";
echo "나이 : $my_year";
?>
처럼 사용해서 변수에 할당해야 합니다.
- allow_call_time_pass_referance : on
함수를 호출할 때 함수에 변수나 값을 전달하게 되는데, 변수 전달 방식을 가능하게 합니다(call by referance).
- include_path : .
PHP명령어 중에는 파일을 인클루드(포함)하는 명령어가 있습니다.
인클루드될 파일의 경로를 지정합니다. 여기서는 기본적으로 현재 경로에서 찾겠다는 것입니다. . : 현재경로, ..:상위경로
- extension_dir : "D:/APM_Setup/Server/PHP5/exit"
PHP는 많은 확장 명령어를 가지고 있습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올린 용량이 큰 사진 파일을 용량이 작은 스내일 파일로 서버에 장하고자 할 때 사진을 축소하여 저장하는 명령어를 지원하는 php_gd2.dll 파일이 필요합니다. 이런 확장 명령어를 지원해주는 파일들이 있는 경로를 지정합니다. 경로를 지정하고 또한 'PHP확장' 탭에서 php_gd2.dll 파일에 체크를 해야겠죠.
- file_uploads : on
파일을 올릴 수 있도록 해 줍니다.
- upload_max_filesize : 350M
올릴 수 있는 파일 1개의 최대 용량을 설정합니다.
- upload_tmp_dir : "D:/APM_Setup/temp"
업로드된 파일이 서버에 임시 저장되는 장소
- max_execution_time : 3600
각 스크립트 가 실행되는 최대시간 3600초 넘으면 에러 발생, 실행 중지
- max_input_time : 9999
서버가 요청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시간이 9999초 넘으면 에러 발생, 실행 중지
- memory_limit : 128M
스크립트가 사용할 메모리 허용치를 128Mb 로 지정합니다.
마지막으로 '저장' 단추를 눌러서 설정값을 저장합니다.
저장을 했더라도 웹서버를 재가동하지 않으면 설정값이 반영이 안됩니다. 그래서
지금까지 설정한 값으로 Apache웹서버를 다시 가동시켜 봅시다.
④ 모니터 보기를 클릭합니다.
아래에 나타난 창에서
‘Apache2 : 정상 동작중’ 아래의 ‘STOP’ 버튼을 클릭하여 아파치서버를 중지시킨 후, 다시 ‘START’ 버튼을 클릭하여 동작시키면 지금까지의 설정이 반영되어서 아파치 웹서버가 돌아가게 됩니다. .
항상 설정을 바꾼 후에는 Apache서버를 재가동해야 설정값이 새로 적용이 되죠.
또한 Apache서버가 정상동작 중이어야(STOP단추가 활성화된 상태) PHP파일이 돌아가죠. PHP파일은 서버에서 돌아가는 언어이기 때문이죠
이것으로 PHP프로그램을 윈도우에서 작성해 볼 수 는 환경을 APMSETUP 프로그램으로 간단하게 설정해 보았는데요,
제대로 설치되었는지 확인해 봅시다.
DocumentRoot로 설정한 'D:\Homp' 폴더 안에 다음과 같이, 윈도우 보조프로그램인 메모장을 사용하여 적은 후, index.php 로 저장하여 봅니다. index.php는 홈페이지에서 가장 먼저 보여주는 파일이라고 했죠.
<?php
Echo "Hellow My PHP!!!";
?>
익스플로어를 띠운 후 주소 입력창에 다음과 같이 입력하고 엔터치세요
결과가 다음과 같이 나오면 아파치서버 설치, PHP 설치, DocumentRoot 경로 설정이 제대로 된거죠.
Hellow My PHP!!!
그런데 PHP프로그램을 매번 메모장으로 작성할 수 는 없고, PHP 작성용 에디터를 하나 설치해야 겠죠.
다음에는 PHP프로그램을 작성할 수 있는 에디터를 설치해 보겠습니다.
그리고 APMSETUP프로그램을 사용하지 않고 APM 파일을 각각 다운 받아서 설치해 보는 방법도 적어보려고 합니다.
'PHP 환경설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2. PHP 텍스트 편집기 설치 및 파일작성 (0) | 2016.10.24 |
---|